본문 바로가기

gi지수 낮은 음식표 이걸 이제 알았네

공부좋아하는토끼 2020. 5. 14.
반응형

 

 

안녕하세요, 리블루에입니다. 요새 하도 먹을게 넘쳐나다보니 이제 먹는것도 아무것이나 먹지 않고 가려먹는 시대가 됬는데요. 참 옛날에 먹을게 없어서 그 난리를 쳤다는게 정말 믿겨지지 않는 세상이긴 해요 ㅠㅠ 그래서 이젠 gi지수 낮은 음식표 라는 걸 파악해가면서 먹는다고 하니, 오늘은 그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까 합니다.

 

gi지수 낮은 음식표 라는 말에서 우선 gi 지수란(혈당지수) 무엇인지 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GI지수는 음식물 중의 탄수화물 섭취에 의해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포도당100g을 섭취했을 때 혈당의 상승속도를 100으로 하여 각 음식물 100g을 섭취했을 떄의 혈당의 상승속도를 상대적으로 나타낸것입니다.

 

 

 

gi지수 낮은 음식표 의 혈당지수가 강조되는 이유는?급격한 혈당의 상승이 인슐린의 과잉분비를 가져오고, 인슐린의 혈당의 저하와 더불어 지방축적을 가져오므로, 혈당의 상승속도가 빠른 음식물의 섭취는 결국 체지방의 축적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혈당지수가 낮은 음식물을 섭취하면 인슐린의 과잉분비를 막을 수 있고, 체지방 축적을 덜 일으켜 체지방량이나 체형의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논리인데요. 근데 보통 GI 지수를 낮은 것을 먹는다해도 다시 그걸 몇배를 먹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도로아미타불이지 않는가 싶긴 하네요;

gi지수 낮은 음식표 와는 별개로 대부분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현재 비만도는 간단히 체중으로 측정하고 있으나 건강유지에 있어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복부비만이나 내장비만 등의 체지방량과 허벅지 등의 근육량이라고 할 수 있긴 합니다. 그래서 따라서 단순히 저 칼로리 식가를 통해 체중을 줄이는 것보다는 혈당수치가 낮은 음식물을 섭취하여 체지방량을 줄이는 것이 체중조절의 본래 취지에 보다 부합한다고 할 수 있겠는데요.

 

 

gi지수 낮은 음식표 를 통해서 각 음식물의 혈당지수와 열량을 나타내는 표를 시흥시 보건소의 표를 통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gi지수 낮은 음식표 는 일반적으로 GI지수가 60이하인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체지방 축적을 막는데 유리 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GI지수가 낮더라도 열량이 높은 음식은 그 열량이 소모되지 않는 한 결국 몸에 지방으로 축적된다는 것인데요.

 

 

gi지수 낮은 음식표 를 보고 아 이건 먹어도 되겠구나 하고 안심하긴 좀 이릅니다. GI다이어트를 '맘껏 먹으면서도 살이 빠진다' 는 식으로 이해하기 보다는 혈당지수가 의미하는 바를 우선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같은 열량을 섭취할 때 GI지수가 높은 음식은 신속히 지방의 형태로 몸에 저장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기회가 적고, 낮은 음식이 몸에 천천히 저장되어 신체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이용될 기회가 많다는 뜻으로 말이죠. 기회가 아무리 많아도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결국 몸에 저장 될 수밖에 없으니 제대로 먹는 만큼 사실 많이 움직여야합니다. 우리가 많이 안움직여서 사실 이고생이잖아여 ㅠㅠ

 

 

gi지수 낮은 음식표 도 중요하지만 사실 식생활 역시 중요합니다. 올바른 식생활은 골고루 매끼마다 여러 가지 식품을 골고루 먹어야 좋은 식사가 됩니다. 이 때 영양소의 조성이 비슷한 식품을 식품군으로 묶어 여기에서 선택하여 섭취하면 대체로 필요한 영양소를 얻을 수 있습니다.

 

gi지수 낮은 음식표 와는 별개로 제때에 먹는 것이 중요하며 아침을 거르면 혈당치 저하로 무기력해지며 집중력이 떨어지며, 점심과 간식의 과식으로 이어져 영양불균형을 초래하기 쉽습니다. 또한 이러한 불규칙적인 식사를 계속하면 소화기 관련 질환의 발병으로 건강을 해치게 되니, 알맞게 표준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필요한 적정열량을 섭취하는 것은 비만과 성인병을 예방하는 기본 노력입니다.

 

 

 

 

 

또한 즐겁게 하루 한 끼는 온 가족이 모여서 즐거운 마음으로 식사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gi지수 낮은 음식표 와는 별개로 함께 하는 식사는 그 자체가 즐거움으로 식사의 효용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인데요. 또한 가족이 모인 식탁을 ‘육체의 영양’ 뿐 아니라 ‘마음의 영양’을 풍부히 얻는 장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생기는 가족간의 단단한 유대와 예의범절은 어디에서도 얻을 수 없는 것이니 유념하시고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